본교가 2년 전 탈락했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LINC+ 사업)’에 재도전한다. 본교는 2019년도 LINC+ 사업의 산학협력 고도화형 신규대학 선정을 위해 지난달 15일 교육부에 정성보고서를 제출했다. 본 사업은 산업선도형 대학 육성과 사회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인재양성 지원을 위한 국책 사업이다. 본교 연구산학처 양재용 산학기획팀장은 “LINC+ 사업은 산학협력으로 청년 일자리 감소와 지역경제 위축을 해결하는 것이 목표”라며 “사업 선정 시 학생들의 취·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사회·기업과의 연계활동을 촉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교는 지난 2017년 해당 사업에 탈락한 바 있다. 본교 학칙에 교수의 승진이나 재임용 평가 시 산학협력지표가 적용되지 않는 점, 전임 산학협력중점교원 수의 부족 등이 당시 주요 탈락 원인이었다. 이에 본교는 교원 재임용 심사에서 산학협력 실적을 반영하도록 ‘교육 공무원 등 임용 규정’을 개정했고, 지난달 1일부로 산학협력중점교원3명을 추가 임용했다. 본교는 사업 선정을 위해 지역사회·기업 관련 프로그램으로 ▲현장밀착형 산업협력센터(ICC) ▲현장밀착형 지역사회협력센터(RCC) ▲대학-산업체 간 공동연구 및
캠퍼스는 다양한 공간과 장소들로 채워진 곳입니다. 캠퍼스 안에는 우리가 매일 들르는 공간도 있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함부로 출입할 수 없는 숨은 공간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숨은 공간 중에는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지니거나,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 많습니다. 우리 학교의 숨겨진 공간들을 모은 X-FILE 지금 공개합니다!● ▲국회의사당 돔에는 태권V가, 그럼 본관 돔에는?, 본관 중앙회의실본관 건물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아마 청동빛 돔일 것입니다. 그 돔에 무엇이 있을지 궁금해 한 적 있으신가요? 그곳 안에는 본관 중앙회의실이 있습니다. 중앙회의실은 본관 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회의실로, 100여 명 정도의 인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입니다. 돔이라는 공간의 특성에 맞게 원형의 모습을 갖춘 이곳은 교수 임명장 수여, 간부회의, 학장회의 등의 행사를 진행합니다. 중앙회의실은 1975년 당시 본교를 방문한 김종필 국무총리의 특별보조금으로 만들어졌고, 지난달에 리모델링을 마쳤습니다. ▲캠퍼스의 혈관과 신경, 지하공동구학교 지하 공간들이 대부분 연결되어 있다면 믿을 수 있나요? 지하공동구는 수도관·증기관·전기선·통신선 등의 배관이 깔린 지하 통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