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기기의 보급 확대와 함께 유튜브로 대표되는 비디오 기반 플랫폼의 발전으로 인하여 1인 방송 또는 1인 언론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가짜뉴스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사실 1인 언론이라는 표현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많은 다툼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언론과 1인 언론을 비교하였을 경우 정확한 취재 및 정보전달 과정이나 정보의 신빙성 등에 있어서 1인 언론은 당연히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1인 언론 역시 일반적인 언론과 비슷하게 정보전달을 그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언론이라고 칭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민주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은 헌법 제21조에서 언론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규정하고 있고, 이러한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언론에 대한 허가나 검열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다만 언론은 타인의 명예나 권리 등을 침해할 수 없고, 침해한 경우에는 피해자의 배상청구권을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는 주된 이유는 대의 민주주의의 형태에서 민의(民意)를 국가 정책 및 국회의 입법 등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여론 형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의 주된 역할은 건전한 여론이
454만여 명의 대학생이 가입한 ‘에브리타임’은 대학별로 커뮤니티가 나뉘어져 가입자들에게 해당 대학의 시간표, 강의평가 및 시험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익명게시판을 운영하고 있는 가상의 대학 커뮤니티이다. 과거 대학생활과 관련된 정보원이 대학선배 등 현실의 커뮤니티였다면 지금은 ‘에브리타임’이라는 가상의 커뮤니티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지난 10월 8일 서울 소재 대학의 A씨는 에브리타임에서 악성댓글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으로 삶을 마감했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해당 대학 에브리타임에 우울증을 겪고 있는 자신의 정신적 괴로움을 호소하는 글을 익명게시판에 올렸다. 하지만 이 글에 일부 학생들이 악성댓글을 남겼고, 결국 A씨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발생하지 말아야 했고 일어나지 않을 수 있었던 안타까운 사건이다. 일부 연예인 등 유명인에게 악성댓글이 쏟아지고,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해당 연예인은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한다. 신문이나 인터넷 포털을 통해 흔히 접할 수 있는 기사이다. 그러나 지금은 일반인이 악성댓글을 견디지 못하고 목숨을 끊었다는 기사 또한 쉽게 접할 수 있다. 연예인이나 운동선수와 같이 유명인을 대상으로 하던 악성댓글과
‘플라스틱 팬데믹’, 우리가 흔히 아는 플라스틱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인 팬데믹(Pandemic)을 합친 신조어다. 다소 낯설게 들릴 수도 있는 이 단어는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바이러스 팬데믹에 빠진 데 이어, 이로 인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증가하자 그 현상을 설명하는 말로 등장했다.1907년 벨기에에서 최초의 플라스틱이 탄생한 이래, 무분별한 플라스틱 사용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지도 수십 년. 그러나 최근만큼 플라스틱 쓰레기 때문에 골머리를 앓은 적은 없다. <만드는 데 5초, 사용하는 데 5분, 썩는 데 500년>이라는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폭증했기 때문이다. 일회용 마스크를 비롯해 비닐장갑, 의료용 페이스실드, 택배용 뽁뽁이, 배달용 일회용기, 일회용 수저 등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서 일회용품 사용을 늘리다 보니 일어난 현상이다. 국내에서만 올 상반기 플라스틱 폐기물, 폐비닐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10퍼센트 이상씩 늘어났다.해외의 상황도 심각하기는 마찬가지다. 올해 전 세계에서 쏟아지는 플라스틱 폐기물, 그 중 일회용 마스크와 장갑만 해도 약 2천억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
명절이란 ‘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하는 때’를 일컫는 말이다. 한국에서는 설(구정), 추석 등이 대표적인 민족 명절로 꼽히며,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매년 이 두 명절의 연휴 기간마다 3천만 명 안팎의 인구가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들과 떨어져 지내던 현대인들에게는 1년에 몇 안 되는 절호의 가족상봉 기회이지만, 올해에는 이 귀성객들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게 됐다. 코로나19의 여파가 아직까지도 횡행하기 때문이다. 지난 8월 15일 광복절, 광화문에서 일부 단체가 불법집회를 강행한 후 관련 확진자가 급증하자, 지난 3월에 이어 또다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된 상황이다. 이에 “벌초하러 갔다가 내년 벌초거리 늘어나겠다!”, “딸, 아들아. 고향에 안 오는 것이 효도다!” 등, 재치가 담긴 슬로건들도 속속 등장했다. 정부와 지자체도 영화, 콘서트, 미술품 관람, ‘집콕놀이 공모전’ 등 비대면 문화콘텐츠를 장려하며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이동하지 말 것을 장려하고 있다.추석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 아직까지는 웃으며 말할 수 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예년과 같은 규모의 인구 이동이 발생했다가는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불러올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