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NS가 더욱 활성화되고 다양한 연령·계층의 SNS 사용자들이 등장하며 이른바 ‘가짜뉴스’의 위험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가짜뉴스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SNS 회사 관계자들 및 언론인들의 골머리를 앓게 만드는 사회적 문제다. 가짜뉴스에는 찌라시라고 불리는 자유로운 형태의 왜곡성 콘텐츠, 일부 사실 관계가 잘못 표기된 언론사의 오보, 뉴스 형식을 사칭하며 완전히 왜곡된 허위 사실을 유포하려는 허위뉴스 등이 있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KISO는 가짜뉴스를 ‘언론보도 형식의 허위 게시물’로 규정한다. 언론사의 명의, 직책 등을 사칭하거나 도용해서 기사의 형태를 갖추는 게시물들이 가짜뉴스라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에게 혼란을 일으키는 가짜뉴스들은 대부분 SNS나 인터넷 익명 홈페이지 등을 통해 퍼져나가는 소위 찌라시 콘텐츠들이다. 이들은 저마다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으며, ‘아주 친근한 이야기’인 것처럼 떠돌면서 사실 확인도 되지 않은 정보들을 흩뿌린다.

가장 경계해야 하는 것은 이 가짜뉴스들이 가지는 친근함이다. 가짜뉴스를 퍼트리는 사람들은 ‘신뢰할 만한 아는 사람’에게 들었다며 SNS를 통해 지인들에게만 정보를 공유하거나, 팔로워 수가 꽤 있는 콘텐츠 제작자들의 채널을 통해 영상 및 카드뉴스 콘텐츠 등을 홍보한다. 이를 접한 사람들은 자신과 아는 사이인 사람이, 혹은 자신이 즐겨 보는 콘텐츠 제작자가 가짜뉴스 제공자일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하고 의심 없이 그 콘텐츠를 소비한다. 인터넷에 익숙하니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분별력을 갖췄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청·장년층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일이다. 대학생들이라고 예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SNS 사이트에는 종종 “이런 내용의 콘텐츠를 봤는데 정말이냐”고 묻는 글들이 게재되고는 한다.

일말의 의심이라도 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라면 그나마 다행이다. 이제 막 인터넷에 적응해가는 초등·중학생들과 정보의 취사선택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은 ‘카더라’ 찌라시 콘텐츠를 접했을 때 큰 의심 없이 이를 쉽게 신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노려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도용해 영상 콘텐츠를 만들거나, 노년층 국민들이 주로 관심을 갖는 ‘반공’, ‘노인복지’ 등의 키워드를 넣은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사례도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가짜뉴스의 범람을 제재하고 콘텐츠의 팩트체킹과 건전한 언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각의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 차원에서 기울이는 노력도 그 중 하나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교내 언론정보연구소에서 SNU FactCheck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언론사와 대학이 협업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본교도 가짜뉴스의 위험성과 본교 구성원들도 언제든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사실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지역거점 교육기관인 본교가 본교 구성원 및 지역 시민들에게 정보를 취사선택하고 올바른 뉴스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앞장서서 이끌어 나가야 할 때다.  지역 사회가 가짜뉴스의 진정성을 고민하고 건강한 정보 소비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본교가 지역거점국립대학으로서 가짜뉴스 퇴치의 전선에서 제 역할을 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