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학생들은 질문을 해도 대답을 안 해요, 대답을!”

“어차피 이런 거 물어봐도 여러분은 대답 안 하겠죠?”

전공 수업에 들어오는 교수님들은 하나 같이 이런 말을 입에 달며 강의를 진행하신다. 교수님들의 ‘꼰대’스러운 말이라고 칭하기 미안할 정도로, 수업에서 학생들은 질문은커녕 대답조차 하지 않는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은 수업에 대해 어떠한 목소리도 내고 싶지 않은 것인가? 그건 아니다. 지난주 수업에서 있었던 일이다. 교수님은 한 학생에게 수업에서 다뤄진 중요한 개념에 대해 물었으나 그 학생은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 교수님은 5분여 동안이나 같은 학생에게 비슷한 질문을 반복했으나, 끝까지 “모르겠다”는 대답조차 얻지 못했다. 재미있는 것은 수업이 끝난 후 그 학생이 조용히 교수님에게 다가가 수업에서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물어본 것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수업 전후나 메일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학생들은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자신의 존재가 드러나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전공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수강한 학생으로서, 또 이 현상에 어느 정도 동조한 학생으로서 나름대로 원인을 분석해봤다. 일반적인 경우 질문의 답을 몰라서, 정말 대답할 수 없어서다. 보통 수업 진행이 너무 빠르거나 내용 자체가 상당히 어려운 경우 이런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그렇다면 질문의 답을 알면서도 답을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답에 대한 확신이 없거나, 교수님과의 대면이 부담스럽거나, 수업의 빠른 진행을 원하는 학생들의 눈초리가 무서워서일 것이다. 실제로 한 다큐에서는 강의 끝 무렵 실험자가 질문을 하자, 질문자에게 원망의 눈초리를 보내는 학생들의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아예 수업에 관심이 없어 대답하지 않는 학생들도 많다. 이들은 보통 수업 내용만 대충 훑고 강의 시간동안 자습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교수님들의 볼멘소리에 따르면, 대답하지 않는 학생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증가했다고 한다. 증가의 원인은 너무 많은 변인들이 작용해 정확하게 설명하기 힘들다. 사회가 변화하면서 학생들은 교수님의 눈치를 보는 것보다 같은 강의실에 있는 다른 학생들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는 풍조가 생겼다. 나는 이것이 큰 원인이 아닐까 생각한다.

대학은 흔히 ‘진리의 상아탑’이라 불린다. 상아탑의 관용적 의미는 학문지상주의를 일컫는 말이라고 한다. 분명 대학은 학생들이 모여 ‘진리’라는 상아탑을 쌓는 장소다. 그런데 우리는 그 상아탑을 쌓는 것을 지켜만 보고 있다. 정작 자신은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 혼자 ‘묵념의 상아탑’을 쌓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진리의 상아탑은 누가 쌓아야 하는가?

진리의 상아탑은 어느 한 사람에 의해 이뤄지지도 않는다. 탑이 쌓이려면 학생 개개인의 진리와 교수님이 전해주는 진리가 모여야 한다. 결국 같은 학생들과의 소통과 교수님과의 소통이 진리의 상아탑을 세울 수 있다.

유동현

탐구팀 차장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