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에 등장한 ‘석면’이라는 커다란 단어가 시선을 끌었다. 미세먼지·황사·중국의 폐기물 수입금지 등으로 인한 환경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해주려는 듯 제시된 ‘건강한 학교를 위해, 본교 석면 제거…’라는 제목과 내용은 독자들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본교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들을 읽으면서 독자들은 ‘우리 학교에선 안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 역시 학교를 오염시키는 가해자라는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이러한 ‘경고’가 함께 제시됐으면 더 풍부한 기사가 됐을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센트럴 파크에 무분별하게 버려진 쓰레기들과 교내 쓰레기통에 넘쳐나 있는 테이크-아웃잔들을 보라. 석면가루와 우레탄 제거의 시행이, 우리가 학교에 가한 환경오염의 책임까지 제거해주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언제나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다.

교수회가 공공성이 결여된 성과연봉제 폐지를 촉구하는 내용의 기사는 ‘피해자’의 관점이 잘 드러나도록 보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성과연봉제 폐지를 외치는 문구는 학교 곳곳에 설치된 현수막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수 학생들은 성과연봉제가 생산을 증대시키는 효율적인 제도라고 알고 있다. 따라서 현수막을 보며 다소 의아해 했을 것이다. 지난 기사는 빈익빈 부익부를 심화시키는 점, 성과 기준이 모호한 점 등 본교 성과제도의 문제점을 친절하고 명확하게 설명해줬다. 그러니 신문을 본 독자들이라면, 이제는 그 현수막을 관심 어린 애정의 눈빛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3면의 지역인재 채용에 대한 기사는 취업준비생의 입장에서 공감가는 글이었다. 법률 예외조항을 악용한 탓에 말 그대로 ‘구멍 뚫린’ 지역인재 채용이 나타나게 된 현실은 사회의 예비노동자를 사회제도의 ‘피해자’로 만든다. 필자뿐 아니라 신문을 읽는 독자 중 대부분은 지역인재(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를 졸업한 자)에 해당하는 학생이다. 우리가 겪고 있는 취업난의 원인 중에는 ‘제도’의 구조적 문제도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교수회의 주장, 지역인재에게 불합리한 제도 등을 통해 하고자 하는 말은 결국 ‘노동자의 권리 신장’으로 모인다. 노동자 이야기를 더 해보자. 지난 신문에는 ‘노동절’에 관한 기획기사가 다뤄졌다. 노동절의 사전적 정의는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국의 근로자들이 연대의식을 다지는 날’이다. 기사를 통해 노동절의 역사와 의미, 근로자의 날 법률 등 노동절에 대한 궁금증은 해결됐지만, 그걸로 그친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움을 느꼈다.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노동자들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동절에 ‘우리’는 무엇을 했는가? 휴강을 맞은 학생들은 놀러 갔을 테고, 근로기준법이 아니라 국가공무원법을 따르는 교직 공무원들은 평소와 다름없이 출근을 했을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리가 처참히 밟히는 모습을 봐온 필자는 노동절의 의미가 존재하기는 하는지 의심했다. ‘노동절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독자들에게 던졌다면 한 걸음 더 나아간 글이 될 수 있지 않았을까. 이에 침묵한다면 우리는 또 다른 가해자가 될 것이다. 

독자평가위원

정수현

(사회대 신문방송 16)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