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8일, 수능 원서 접수가 끝났고 수시 원서 접수도 마무리된 시점이다. 이제 수험생들은 지금까지의 인생 중 가장 중대한 일을 마주하고 있을 것이다. 2년 전 내가 겪었던 고통을 생각하며, 수험생들이 이 시기를 잘 넘기길 바란다. 

수능과 입시에 대한 얘기가 활발해지는 시점에서 항상 불거지는 이슈가 있다. 바로 수시전형에 대한 불신이다. 소위 ‘금수저’를 위한 전형으로 여겨지며, 늘어만 가고 있는 수시전형의 비율에 대해 걱정하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주관이 개입되지 않는 전형인 정시, 즉 수능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이 공정하다는 여론이 항상 더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현재의 수능 제도는 모든 입시 전형 중에 가장 ‘공평’할지는 모른다. 모두 객관식과 단답형으로써 하나만의 정답이 존재한다. 또한 채점하는 사람의 주관이 들어갈 가능성 역시 0%에 가깝다. 그저 맞는 문제와 틀린 문제의 개수로 도출된 점수만이 중요하다. 답안지에 적힌 이름이나 출신 고등학교로 인해서 도움이나 피해를 받을 일은 없다. 이에 반해 수시는 논란의 대상이다. 논술의 경우 수험생이 받은 과외나 학원 등 사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여겨진다. 이에 수백만 원 가량의 과외비를 쓰는 가정들이 있다는 보도가 속출하고 있다. 학생부종합 전형의 경우에도 출신 고등학교에 따라 할 수 있는 교내활동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이며 자기소개서 첨삭의 경우도 가정의 경제력에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수시전형에 대한 불신의 문제를 정시 비율을 높임으로써 해결하는 것이 맞는 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수능이 공평할 수는 있으나 가장 ‘옳고’, ‘좋은’ 방향의 입시 전형일까?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을 풀어 쓰면 이렇다.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해보는 시험이다. 하지만 그 이름값을 하고 있냐고 물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은 고개를 가로저을 것이다. 3학년이 되면 교과서를 쓰는 것이 이상한 수업이 된다. 수업에서 교과서를 쓰는 게 이상한 상황이 되는 것은 우습지 않은가? 수능대비를 한다는 것은 정형화된 패턴의 적응을 위해 문제집을 계속 푸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대 사회가 그렇게 외치고 있는 창의적 인재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방식이다. 

공평이라는 가치는 중요하다. 그러나 공평하다는 것이 좋은 제도를 위한 유일한 잣대여서는 안 된다. 공평은 올바른 입시제도의 한 요소로 고려돼야 한다. 수시의 공평성이 문제니 비율을 줄이고 정시를 늘리는 것과 같은 단순한 처방은 고등교육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봤을 때 도움이 될 수 없다. 단순히 문제되는 전형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수시나 정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고려해야 한다. 이제 입시에 대해 더 멀리 바라봐야 한다. 헌법 제31조 1항은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해놨다. 각자의 능력을 개발시켜줄 수 있는 교육을 고민해야 하고 그런 교육이 가능한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이제는 입시제도에 따라 중등교육의 방향성이 바뀌는 상황이 반복되면 안 된다. 우리나라의 교육 철학을 바로 세운 뒤 그것에 따른 입시제도를 세워야 한다. 

김민호

대학팀 차장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