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MBC 8월 23일 자 방송 : 맹독성 DDT 닭에서도 검출... 파장

“모두 12마리를 검사했는데 빠짐없이 DDT가 나온 겁니다. 특히 1마리씩은 잔류 허용 기준치(0.3mg)를 초과한 0.4mg 이상이 검출됐습니다.”

영남일보 8월 24일 자 신문 : 경북도 “출하된 일부 농장 닭만 샘플 검사”

“축산당국이 도계장에 나오는 닭 가운데 극히 일부 농장 닭만 모니터링 검사를 하기 때문에 문제의 농장 닭은 제외된 것”

매일신문 8월 25일 자 신문 : “애지중지 키운 닭 없애라니…” DDT 검출된 경산 농장주 눈물

“DDT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닭을 살처분할 경우 법정 가축전염병에 해당하는 AI(고병원성 인플루엔자)와는 달리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근거가 없다.”

살충제 계란 파문이 전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경상북도 영천과 경산에서는 2개의 농가에서 38년 전 판매금지된 맹독성 살충제 DDT가 계란에 이어 닭에서도 검출돼 논란이 일고 있다. 농가가 살충제를 살포해서 발생한 현 살충제 파동과는 달리 수 십년 전 사용된 DDT가 잔류한 주변 농지의 흙을 닭이 섭취해 검출되게 된 것이다. 3개 지역 언론사 모두 닭에서 DDT가 검출된 때와 그 후의 상황을 다루고 있다. 

대구 MBC에서는 계란과 비교해 닭이 잔류량이 더 많다는 검사결과를 제시했다. 잔류 허용 기준치 넘었다는 내용을 통해 DDT 검출 닭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또한 검출된 두 농가 모두 38년 전 판매 금지된 DDT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반감기가 긴 DDT에 오염된 흙을 먹으면서 체내에 축적된 것으로 그 이유를 해석했다.

영남일보의 경우 지난해 DDT가 검출된 농장의 닭 822마리가 출하되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축산당국의 일부 농장만 샘플링해 살충제 검출을 시도하는 느슨한 검사체계가 DDT에 노출된 닭이 유통되도록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일부만 모니터링하는 현 축산당국의 검사방식을 비판하고 대안을 요구하는 기사였다.

매일신문은 DDT가 검출되어 닭을 살처분할 상황에 처했으나 살충제로 인한 살처분의 법적 지원책이 없어 자비를 들여야 하는 안타까운 사연을 소개했다. 정부나 지자체가 DDT 살충제 농가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게 하는 기사였다. 

김민호 기자/kmh16@knu.ac.kr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