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생회 및 일부 단과대학 선거기간이 11월 15일~17일로 확정됐다. 본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중앙선관위)는 한 해의 선거 방식을 정하고 선거 과정 전반을 관리하는 기구로써, 총학생회칙에 따라 그 지위가 보장되며 선거 시행세칙에 따라 활동한다. 그 책임이 막중함은 두말할 것이 없으나 전자투표가 2년째 시행되는 올해,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중앙선관위의 노력이 매우 중요한 시기다.

작년에 처음 실시됐던 전자투표는 ▲투표기기의 잦은 오류와 고장 ▲높은 비용 ▲시스템 상 총학생회와 단과대학의 개별 투표 불가 등의 문제가 제기됐다. 상주캠퍼스의 경우, 투표기기가 고장 나도 예산이 부족해, 이를 수리할 기술자 한 명조차 대기시키지 못했다. 중앙운영위원회에서도 “비용이 1000만 원 정도 드는 반면 크게 메리트가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2016년 48대 중앙운영위원회 28차 회의록 참고)” 등 학생 대표자들 간에 시스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전자투표 자체에 대한 유권자들의 낮은 인식률은 홍보 강화로 차차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올해 시스템의 문제 해결에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추후 선거에서도 유권자들이 신뢰를 갖고 투표를 행사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번 전교학생대표자회의에서 ‘온라인 선거의 건’이 부결되기는 했으나, 중앙선관위 측에서는 대한민국 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하는 온라인 투표 서비스 ‘K-Voting’과 전자투표방식의 병행을 고려하고 있다. 온라인 선거의 경우 전학대회 당시, 부재자투표의 편리성이 장점으로 언급됐다. 그러나 낯선 만큼 신뢰하기 힘들며, 간편한 만큼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통상적인 인식을 어떻게 바꿀지가 관건이다. 이러한 방식이 이번 선거에 적용된다면, 유권자들을 배려하는 넓고 다양한 홍보가 함께 진행돼야 한다.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온라인 선거방식이 어디서부터 논의됐고 왜 시행하는지, 그 과정과 이유를 알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위의 선거방식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중앙선관위 위원들 간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 대부분 단과대학의 선거관리위원장이 중앙선관위 위원을 겸임하고는 있으나 중앙선관위 회의는 좀처럼 열리기 힘들어, 실질적인 선거 제반업무는 현 부총학생회장을 포함한 선거 TF팀에서 이뤄지고 있다. 선거관리위원직은 봉사시간과 약소한 활동비만이 주어져 그의 업무 수행을 강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 있다. 그러나 각 단위의 의사를 대표하는 위원들의 의견 개진이 미약하다면, 어떻게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된 선거시스템을 만들어나갈 수 있겠는가? 그 직책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등의 방안을 강구해, 위원들이 책임감을 확실히 느끼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중앙선관위 스스로의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학생 대표자들과 유권자들의 것이기도 하다.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최신명 중앙선관위원장은 “선거가 축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수준 높은 축제를 만들기 위한 학내 구성원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김서현

기획부 차장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