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홈페이지 배너에 눈에 띄는 것이 있다. ‘고교 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이하 고교 교육 정상화 사업) 국립대 중 최고액인 11억 5천만원 국비 확보. 즐거운 소식이다. 본교가 11억 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게 됐다니 기쁘지 않은가!고교교육 정상화 사업은 교육부와 대학교육협의회가 대학의 입시교육이 고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때 좋은 평가를 받는 대학이 사업에 선정되고 지원금을 받는다. 우리 학교는 지원금을 통해 입학생들에 대한 교육지원, 입학사정관 전문성 향상 및 대학전형 역량강화 등의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그럼 이 사업에서 말하는 고교 교육 정상화는 무엇일까? 간단히 말해 수능이 아닌 학생부를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 입시 전형을 운영하는 것이다. 수능보다는 학생부를 많이 보는 것이 고교 교육의 정상화를 돕는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목표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 이들이 말하는 고교 교육 정상화는 매번 바뀐다. 대통령이 바뀌고 장관이 바뀔 때마다. 물론 학생부를 중심으로 학생을 뽑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나 역시 입학사정관제(현 학생부 종합 전형)를 통해 학교에 입학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런 정책들이 실질적으로 고등학교에 영향을 주는지 의문이다. 2년전 고등학교에 재학할 때 나는 입학사정관제를 위해 학생부에 ‘한줄’이라도 더 남기기 위해 뛰어다녔다. 그리고 내신과 수능성적 관리를 위해 야간자율학습을 해야 했다. 나와 비슷한 처지에 있던 친구들도 같았다. 입시정책이 자주 바뀌다보니 결국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졌었다. 몇 번 하다가 그만두는 정책은 학생들에게 혼란만 가중시킨다. 교육부가 지속가능한 사업을 구상해 실행해야 한다. 사업을 통해 대학에 지원금을 주는 것 자체가 이미 입시제도가 기형적으로 변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만 현재의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 믿고 싶다. 단순히 실적을 올리기 위한 보여주기식 정책이 아닌 진짜 학생들을 위한 정책이 되어야 한다. 대학은 지금처럼 교육부가 원하는 정책대로 이리저리 따라가서는 안 된다. 교육부가 지원금을 바탕으로 입시제도를 바꾸려고 한다고 해서 대학이 그래도 따라가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학생들이다. 물론 교육부가 진짜 학생들을 위한 정책을 만들어 제시한다면 그것에 따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무작정 교육부의 정책에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대학 스스로도 입시생들을 위한 제도를 생각해봐야 한다. 자기 학교에 필요하고 적합한 학생이 필요한 것은 교육부가 아니라 대학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나에게는 네 살 어린 남동생이 있다. 지금 고등학교 1학년이다. 내 동생은 방학 한 주를 제외하고는 학교에서 수업을 들어야 했다. 그리고 10시까지 야간 자율 학습을 하고 있다. 내가 했던 그대로다. ‘야자’도 하고 거기에 ‘스펙’까지 준비해야 하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정상화가 아니길 바란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