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사회학과가 60주년, ‘큰 생일’을 맞아『우리의 기억, 시대의 기억』이라는 제목의 기념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보통의 경우 이런 류의 책은 크고 두꺼운 외양과 딱딱한 내용을 특징으로 하며, 읽히기보다는 꽂히는 것을 그 주요 목적(?)으로 삼는 경우가 많지요. 그런 책은 만들고 싶지 않았습니다. 만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해서 이 책은 처음부터 읽히는 책, 읽고 싶은 책을 염두에 두고 기획되었습니다. 

사실 어떤 개인의 기억도, 어떤 집단의 기억도 그들‘만’의 기억일 수 없지요. 때문에 우리가 어떤 한 개인의 인생을 보편사적 시선에서 읽고 공감할 수 있는 것일 겝니다. 경북대 사회학과라는 특정 대학 특정한 과의 기억도 마찬가지라 믿었습니다. 하여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책을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그런 취지에서 책의 내용도 ‘학과 구성원들의 일상을 문화적으로 복원’한다는 사소한, 그러나 거창한 목적을 갖고 구성되었습니다.

그 안에는 과방에 남아있는 손때 묻은 일지, 드높은 이상을 토로하던 학회, 동기와 선후배 간의 끈끈한 정을 확인했던 엠티, 학창시절을 되돌아보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얼굴, 함께 부르던 과가(科歌)에 대한 기억부터 이 나라 민주화운동의 한 중심에 서있던 기억까지 모두 담겨있습니다. 그리고 그 기억은 자연스레 ‘시대의 기억’으로 연결되어 흘러갑니다.    

누군가 자신의 지난 발자취를 자랑스럽게 기억한다면, 그 사람은 분명 현재의 자신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사람이리라 믿습니다. 그 반대도 성립할 테지요. 오늘의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자신의 지나온 길을 자랑스러워할 것입니다. 아프고 힘들고 부끄러웠던 기억까지도 말입니다. 이 책은 경북대 사회학과 구성원들을 넘어 우리 모두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어떤 대학시절을 보냈습니까? 당신은 어떤 청춘입니까? 

지난날의 기억이 아름다운 순간에 대한 단순한 추억을 넘어 우리의 가슴을 다시 뛰게 한다면, 그리고 그 뛰는 가슴이 오늘의 열정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다면 얼마나 특별하고도 좋은 일이겠습니까?

‘일상의 문화적 복원 작업’이자 ‘역사를 다시 쓰는 작업’의 일환이었던 이 작은 책자가 모쪼록 경북대 사회학과라는 울타리를 넘어 보편적 울림을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천선영 교수

(사회대 사회)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