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에서는 창조과학부를 신설했고, 기업체에서도 사원을 뽑을 때 창의력과 도전정신, 열정에 무게를 둔 열린 채용을 강화하고 있다. 첨단과학기술 사회일수록 창의력이 요구되고 인문학의 부흥과 글쓰기의 훈련 또한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스펙이 중요하다고 해서 스펙 쌓으러 쫓아다녔는데 이제는 ‘너 창의적 인재냐?’라는 물음에 답을 내야 하니, 학생들의 짐은 무겁다. 

그런데 창의적 인재는 하루아침에 될 수 있을까? 이 난제를 뒤집으면 곧 글쓰기가 답이라는 사실을 결과적으로 알 수 있다. 글쓰기는 자신이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에 응전하는 기본적인 방식이다. 한 편의 완성된 글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이를 따져보자. 

누구나 글을 쓰기 전에 어떤 목적이나 이유를 갖고 그에 맞는 글을 쓰려고 계획한다. 내 안의 숨은 지식을 꺼내려면 발상 모으기 등으로 독창적인 이야기를 건져내야 하지만, 내가 배워야 하는 과제일 경우에는 책을 읽고 자료를 모으면서 사고를 확장시켜야 한다. 

메모하고, 읽은 것들을 자기 말로 요약도 해가면서 나름대로 분석도 해본다. 공부한 지식들을 몇 개의 줄기로 분류하고 개요나 목차를 만들면서 종합적인 추론도 하게 된다. 그 후, 개요에 살을 붙여가면서 한 편의 종합적인 보고서가 만들어진다. 통찰과 몰입의 힘이 절로 쌓인다. 그래서 글쓰기는 정직한 것이고, 쓰는 만큼 나아지고, 능력이라는 권력이 된다. 

글을 쓰는 행위는 학문을 나의 지식으로 만드는 일이며, 그 과정을 통과하면 다음 지평을 열 수 있는 힘이 쌓인다. 콩나물시루에 물을 주면 물은 빠지지만 그새 콩나물은 자란다. 써보면 막연하던 것들이 확실히 정리가 되고 자신감도 생긴다. 

뿌리 깊은 나무가 바람에 떨지 않듯이 글쓰기를 훈련하면 나의 기초체력은 아이언 맨이 된다. 놀라지 말라. 뽕잎을 먹은 누에가 마침내 명주실을 뽑아내듯, 글쓰기를 통해 나의 지식은 융합되고 변형되어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응답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식은 기록하지 않으면 흩어지기에 선현들의 보물창고는 글로 지어졌다. 말은 흘러가지만 기록은 남는다. 몸은 날아갈 수 없지만 글은 멀리 날아가서 나를 대변해주고, 나를 심어주고, 업적이 되게 한다. 

왜 오늘날 대학 교과목에 계열별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과목이 필수인가. 그것은 글쓰기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는 힘을 기르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공지식을 연마하는 데 글쓰기 능력이 선행되어야 전공을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 세대들에게 만연되어 있는 ‘블록 복사’와 ‘긁어 붙이기‘의 기술은 우리의 사고를 꼬꼬닭처럼 망각에 능한 존재로 만들 뿐이다. 건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열정적으로 글쓰기에 도전하는 담대함을 가져야 한다. 글쓰기는 레이저 빔이 지나가듯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생각하고, 읽고, 풀어내고, 수정하는 시간을 들여야 잘 익은 결과물을 낼 수 있다. 글쓰기는 고도의 두뇌 훈련이자, 정상에 오르기 위해 베이스캠프를 구축하는 일이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