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뀔 때 마다 대학 교육 정책은 폭풍노도처럼 휩쓸렸다가 겨우 안정될 만하면 또다시 새로운 정부의 교육 정책 이슈가 등장한다. 국민·참여 정부 때에는 ‘학과 통폐합 정책’, ‘사교육비 경감대책’, 이명박 정부 때에는 ‘대학입학제도 개선안’, ‘재학생 사설학원 폐지’ 등과 같은 굵직한 교육정책의 파도가 밀려갔다. 앞으로 대학의 입시 수험생 정원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임계점에 와 있다. 곧 다수의 대학의 도산이 눈앞에 와 있다는 말이다. 후 폭풍으로 교수 인력의 대량 해고, 학문 후속세대의 단절, 대학건물의 방치 등 엄청난 사회적 문제로 발전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이 오게 된 더 근원적인 문제는 10년 앞을 내다보지 못한 교육부의 대학 정책의 혼선 때문이다. 그동안 대학 정원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예측하지 않은 무차별 대학교설립 승인 및 인가의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를 감지한 참여정부에서는 강력한 대학교통폐합 정책을 실시했지만 그 결과 역시 실패였다. 대학 정원의 공급과 수요 불균형에 따라 기반이 연약한 대학들의 붕괴를 사전에 막기 위해 이미 이전 정부에서도 대학교 통폐합 정책이라는 방식을 통한 대학의 정원 조정 정책을 시도했지만 결국 교육부의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일부 국립대학교만 공룡화로 만들고는 그 막을 내렸다. 예를 들어 경북대학교와 상주 캠퍼스의 통합, 부산대학교와 밀양산업대학의 통합과 같은 대학교 통폐합이라는 구조개혁에 따른 보상으로 수천억 원의 혈세만 낭비한 꼴이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공룡처럼 거대화한 국립대학교는 교육의 질은 떨어졌고 학문 경쟁력은 그만큼 더 느슨해진 결과만 초래했다.이처럼 문제가 많은 대학 구조조정은 결국 박근혜 정부가 떠안게 되었다. 곧 구조조정의 요체는 후발 대학교의 일부라도 구제하기 위해서 대학교의 총체적인 정원을 줄여 고사 위기에 있는 대학을 육성 지원하는 쪽으로 재조정하는 데 있다.앞으로 4년 뒤인 2018년 대구 지역의 유력한 모 사립대학교의 현행 입학 정원의 약 78%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문제는 정원에 미달이 예상되는 20~25%의 수험생이 전 학과에 골고루 분산되는 것이 아니라 집중적으로 취업 경쟁력이 약한 학과에 몰리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를 근거로 하여 본교에도 학과통폐합 방식의 대학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따르지 않을 경우 자연히 인센티브의 지원에서 제외 될 것이다. 대학 학문의 균형적 발전은 자본주의인 계량화에 따른 경쟁주의와는 전혀 다른 문제인 것이다. 지난 정부에서 시도했던 학과 또는 대학교 통폐합의 방식을 변용한 학과 통폐합 방식의 대학구조조정, 그 자체가 경쟁력이 약한 학문의 뿌리를 도려내고, 그 학문 후속 세대마저 단절시키는 대단히 위험한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각 대학교와 대학 그리고 학과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 방식에 의한 구조조정은 분명히 위험성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경쟁력이 약하거나 취업에 취약한 학과라도 학문적 균형발전을 고려한다면 함부로 통폐합하거나 편파적으로 정원 감축을 하여 학문 연구의 뿌리를 기본적으로 흔들면 안 된다. 끝으로 교수들 역시 이러한 시급한 상황에 대한 인식을 충분히 하면서 장기적인 학문 균형발전과 학문 후속 세대의 배양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구조조정 방안에 대해서는 기탄없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