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본부는 지난 8월 말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에서 “경북대학교 미래 융복합 캠퍼스 조성 계획”을 발표하였다. 달성군 현풍면에 소재하는 테크노폴리스의 88,789평 부지에 총사업비 4,758억 원을 투자하여 융복합 캠퍼스 조성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면적은 산격캠퍼스의 약 40%에 달하며 건축비는 글로벌플라자 10개 동 정도를 신축할 수 있는 규모의 경북대학교 설립 이래 최대 사업이다.


산격캠퍼스의 과밀화와 이에 따른 공간 부족은 모두 피부로 실감하고 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학교 발전에 필요한 새로운 캠퍼스를 조성하려는 계획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아카데믹 플랜과 시설 마스터 플랜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짧은 기간 동안 수립된 사업계획은 새로운 캠퍼스의 필요성, 활용성 그리고 재원 확보 가능성 등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캠퍼스 조성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부지 매입비를 기성회계, 산단회계, 발전기금 그리고 달성군 보조금 및 3D 사업 부지매입비로 조달하려고 한다. 산단회계 예산 208억 원은 기성회계가 보전하도록 하고 있어, 기성회계의 실질적인 부담금은 337억 원이며 이는 부지매입비 503억 원의 약 70%에 달한다. 발전기금에서는 2011년 말 기준 가용기금 전액인 86억 원을 2012년과 2013년에 부지매입비로 투입하게 된다. 기성회계와 발전기금으로 캠퍼스 부지 매입 비용의 90%를 충당하게 된다. 경북대학교 기성회 규약에는 ‘긴급한 교육시설, 학교운영 등을 지원함으로써 면학 분위기 조성과 교육 여건 개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만을 기성회계로 추진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성회계가 융복합 캠퍼스 부지 매입비를 부담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등록금을 납부하는 학생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융복합 캠퍼스의 활용 계획으로 희망 단과대학의 이전과 결정되지 않은 대학원의 신설과 같은 가상의 수요들을 나열하고 있다. 4,000억 원을 초과하는 캠퍼스 건축비는 임대형 민자사업(BTL) 방식으로 조달하려 한다. 국립대학교의 교육 및 연구 시설의 건설은 BTL 방식으로 추진된 사례를 찾아볼 수가 없다. BTL 방식의 건설 사업은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만 가능하므로, 현 단계에서는 막연한 희망 사항에 불과하다.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 사항만 고려하더라도, 융복합 캠퍼스 조성 계획은 많이 수정·보완되어야 한다. 불과 3개월의 준비 기간을 고려할 때 이해할 수 없는 바는 아니지만, 초대형 사업의 계획이라고 하기에는 턱없이 미흡한 수준이다. 본부는 중장기 발전 방안에 기초한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여 구체적인 캠퍼스의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실현가능한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캠퍼스의 실질적인 사용자이며 기성회계를 조달하고 있는 학생들이 포함된 학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점을 도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경북대학교 미래 융복합 캠퍼스 조성 사업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